티스토리 뷰
사용자 라이프스타일 분석
UX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다.
UI/UX 개념 이해
UI(User Interface)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무엇을 하면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있게 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찾아가게 하기 위해 일련의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
UI의 형태
- 명령행기반(Command-line interface)
- 사용자가 키보드에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
- 메뉴기반(Menu-driven interface)
- 메뉴선택에 의한 명령으로 작동시키는 것
- Graphic User Interface(GUI)
- 마우스를 사용하여 도형 표시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X(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혹은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
- 기술을 단지 효용성 측면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 향으로 이해하려는 새로운 개념
- 사용자 needs의 충족, 브랜드 충성도 향상 등에 기여함
UX의 영역
UX의 대상이 사용자의 만족이나 감정 등의 시멘틱(semantic)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 져 있어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함
-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 사용성(Usability)
-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
- 인간공학(Human Factors Engineering)
- 상기 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분야를 포괄하나 확실히 설정되는 명확한 분야가 없 어 영역이 모호함
UX 영역이 모호한 이유
- 경험의 특성
- 주관성(subjectivity) : 인간의 경험은 개인의 성격적, 인지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 맥락성(contextuality) : 경험이 일어나는 상황적 외적 환경에 영향을 받음
- 총체성(holistic) : 경험 시점에 개인이 느끼는 총체적인 심리적 효과
- 위와 같은 인간이 경험이 갖는 특성에 의해 사용자 경험이란 특정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개념이 아니라 사용자에 귀속된 개념이고 이에 따라 명확한 분야를 구분하는 것이 모호함
UX와 UI 비교
UI는 사용성, 접근성, 편의성을 중시한다면 UX는 이러한 UI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 이나 감정을 의미함
- UI와 UX는 상호보완적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집중해야할 필요가 많음
- UI는 어떠한 경험보다 '기능'이 더 중요시되는 상황이나 장치에서 UX보다 더 중요시 됨
- UI는 자주 재구매/ 재이용하는 고객 대상보다는 즉시이용, 초도이용 등의 대상에게 더 유용한 것
- UX는 UI가 조금 복잡해도 매번 이용시에 몰입할 수 있는 매력을 지니게 되면, UI의 불편함을 불식시킬 정도로 더 중요시 하게 됨
UI/UX의 구성요소
UI/UX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서 Hassenzah.(2003)은 디자이너와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접 하는 요소로 실용적(Pragmatic) 요소와 쾌락적(Hedonic) 요소를 구분하였고, Hong et al.(2006) 등 다수의 연구는 아름다움(Beauty)과 이로움(Goodness)에 대한 요소를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요소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증명은 어려우나 이러한 UX가 이런 네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음은 확실하다.
댓글